맨위로가기

무도회의 수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도회의 수첩》은 16세에 데뷔 무도회를 치른 지 20년 후, 과부가 된 크리스틴이 첫 무도회에서 춤을 췄던 남자들의 삶을 추적하는 내용을 담은 영화이다. 크리스틴은 과거 댄스 파트너들을 찾아 프랑스 전역을 여행하며, 그들의 비극적, 희극적, 평범한 삶의 모습들을 마주한다. 그녀는 마지막으로 제라르의 아들 자크를 만나 새로운 희망을 발견하며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이 영화는 1937년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외국 영화 대상을 수상했으며, 그레이엄 그린 등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7년 영화 - 에밀 졸라의 생애
    프랑스 작가 에밀 졸라는 가난한 작가 생활을 거쳐 소설 《나나》의 성공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드레퓌스 사건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사회 정의를 위해 투쟁했다.
  • 1937년 영화 - 이혼 소동
    레오 맥캐리 감독의 영화 《이혼 소동》은 아서 리치먼의 연극을 원작으로, 이혼 소송 중인 아이린 던과 캐리 그랜트가 출연하여 아카데미 감독상을 수상하고 캐리 그랜트를 A급 배우로 발돋움시킨 스크루볼 코미디 영화이다.
  • 프랑스의 흑백 영화 - 이탈리아 여행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의 1954년 영화 《이탈리아 여행》은 영국 부부가 이탈리아 별장 여행 중 겪는 갈등과 화해를 그리며, 프랑스 뉴웨이브 영화에 영향을 주고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을 넘어선 영화로 재평가받는 작품이다.
  • 프랑스의 흑백 영화 - 소매치기 (영화)
    《소매치기》는 로베르 브레송 감독의 1959년 영화로, 파리에서 소매치기를 하며 죄의식과 구원을 경험하는 젊은 남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 프랑스의 드라마 영화 - 더 트리
    더 트리(The Tree)는 2010년 개봉한 줄리 베르투첼리 감독의 영화로, 남편을 잃은 던 오닐 가족이 거대한 나무와 교감하며 슬픔을 극복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프랑스의 드라마 영화 - 피아노 (1993년 영화)
    제인 캠피언 감독의 영화 《피아노》는 선택적 함구증을 가진 여성 아다가 딸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주하여, 피아노 연주로 감정을 표현하며 남편과 은퇴한 선원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야기를 그린, 여성의 억압과 자기표현을 다룬 작품이다.
무도회의 수첩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원제Un carnet de bal (무도회의 수첩)
감독줄리앙 뒤비비에
제작자장피에르 프로주레
각본가줄리앙 뒤비비에
앙리 장송
이브 미랑드
장 사르망
피에르 볼프
베르나르 지머
출연마리 벨
프랑수아즈 로제
루이 주베
음악모리스 조베르
촬영필리프 아고스티니
미셸 켈베
피에르 르방
편집앙드레 베르생
제작사프로덕션 시그마
배급사레 필름 보그
개봉일1937년 9월 9일
상영 시간144분
제작 국가프랑스
언어프랑스어
제작 비용100,000 달러
한국어 제목舞踏会の手帖 (무도회의 수첩), 삶은 춤춘다

2. 줄거리

16세에 데뷔 무도회를 치른 크리스틴은 20년 후 남편과 사별하고, 무도회에서 춤을 췄던 남자들을 찾아 나선다. 프랑스 전역에 흩어져 사는 그녀의 옛 구혼자들은 비극, 희극, 평범함이 뒤섞인 다양한 삶을 살고 있었다.[1]

크리스틴은 그들을 찾아다니면서 과거의 추억과 현재의 현실 사이의 간극, 그리고 그들에게 미친 영향과 시간의 흐름을 깨닫게 된다.

2. 1. 크리스틴의 회상과 결심

크리스틴은 16세에 데뷔 무도회를 치른 지 20년이 지나 남편과 사별하였다. 이후 남편의 유품을 정리하던 중, 데뷔 무도회 때의 댄스 카드를 발견한다.[1] 그녀는 이탈리아 호숫가의 저택에서 부유하지만 만족스럽지 못한 삶을 살고 있었다.[1] 댄스 카드를 보자 그날 밤의 향수에 젖어, 카드에 서명했던 댄스 파트너들이 어떻게 지내는지 알아보기로 결심한다.[1]

2. 2. 엇갈린 운명

크리스틴은 16세 데뷔 무도회 이후 20년이 지나 남편을 잃고, 과거 무도회에서 만났던 남자들의 삶을 추적하며 그들이 겪은 다양한 운명을 마주한다.

이름삶의 변화
조르주크리스틴을 짝사랑하다 그녀의 약혼 소식에 자살. 그의 어머니는 아들의 죽음을 부정하며 미쳐 있었다.[1]
피에르변호사였으나 범죄에 연루되어 복역 후 카바레 주인 겸 도둑으로 전락. 경찰에 체포됨.[1]
알랭작곡가를 꿈꿨으나 신부가 됨. 크리스틴에게 자신의 과거 짝사랑을 3인칭으로 이야기함.[1]
에릭알프스의 가이드가 됨. 크리스틴과 재회하지만 조난 사건으로 인해 구조에 나섬.[1]
프랑수아시골 마을 시장이 되었으나, 재혼과 양아들 문제로 어려움을 겪음.[1]
티에리의사가 되었지만 낙태 시술을 하는 암흑가 의사로 전락. 정신 장애 발작을 일으키고 아내를 총으로 살해함.[1]
파비앙고향에서 미용사로 일하며 크리스틴을 무도회에 초대. 크리스틴은 현실과 추억 사이의 괴리를 느낌.[1]



크리스틴은 마지막으로 찾던 제라르가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의 아들 자크를 만나 함께 떠난다.[1]

2. 3. 재회와 깨달음

크리스틴은 마지막 구혼자였던 제라르를 찾아 나선다. 친구로부터 제라르가 지난 15년 동안 그녀의 호수 건너편에 살고 있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1] 보트를 타고 건너간 크리스틴은 제라르와 매우 닮은 젊은 남자를 만나지만, 그는 제라르의 아들이었고, 제라르는 최근에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1]

제라르의 아들 자크는 아버지를 잃은 슬픔에 잠겨 있었고, 크리스틴은 그에게서 과거 제라르의 모습을 발견한다. 크리스틴은 자크에게서 새로운 희망과 사랑을 느끼며, 그를 아들처럼 보살피기로 결심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정식 무도회 복장을 한 젊은 남자는 크리스틴을 새어머니라고 부르며 함께 떠난다.[1]

크리스틴은 자크를 통해 과거의 아름다움은 사라졌지만, 새로운 사랑과 희망을 발견하고 삶의 의미를 되찾게 된다. 그녀는 자크를 처음 무도회에 보내면서 "조금 긴장되겠지. 처음 담배를 피울 때처럼."[2]이라고 말하며, 새로운 시작을 응원한다.

3. 등장인물

이 영화에는 주요 인물 외에도 다양한 조연들이 등장하여 극을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

3. 1. 주요 인물

배역배우
알랭 레뇨아리 보르
크리스틴 쉬르제르마리 벨
티에리 레날피에르 블랑샤르
파비앙 쿠티솔페르낭델
피에르 베르디에 (조)루이 주베
프랑수아 파튀세레뮈
마르그리트 오디에프랑수아즈 로제
에릭 어빈피에르 리샤르-윌름
브레몽Maurice Bénard|모리스 베나르프랑스어
자크 담브르발로베르 리넨
세실 갈테리밀리 마티스
티에리의 정부실비
앙드레
신문 판매원잔 퓌지에-지르
프레드알프레드 아담
테디 멜랑코피에르 알코베르
지배인자크 보베
댄서페기 보니
남작조르주 도리발
무도회에 간 소녀의 어머니마르그리트 뒤쿠레
결혼식 만찬 웨이트리스아녜스 뒤발
로즈 (오디에 부인의 하녀)가브리엘르 퐁탕
무도회에 간 소녀시몬 고티에
시장 보좌관르네 제냉
조의 공범로제 르그리
조의 식당 손님레몽 나를레
경찰관앙리 나시에
파튀세의 초청객앙리 니엘
학교 성가대 소년부아의 십자가의 작은 가수들
댄서실뱅
자닌 조렐리
세르주 드 란도어
크리스타 도라


  • 크리스틴: 마리 벨 - 이탈리아 코모 호 호반의 고성에 사는 미망인.
  • 브레몽: Maurice Bénard|모리스 베나르프랑스어 - 크리스틴의 죽은 남편의 비서.
  • 마르그리트 오디에: 프랑수아즈 로제 - 조르주의 어머니.
  • 피에르 베르디에: 루이 쥐베 - 카바레 경영자. 현재의 통칭은 조.
  • 알랭 레뇨: Harry Baur|아리 보르프랑스어 - 전 음악가. 현재는 도미니크 신부로서 소년 합창단을 지도.
  • 에릭 일반: Pierre Richard-Willm|피에르 리샤르-윌름프랑스어 - 산악 가이드.
  • 프랑수아 파추세: Raimu|레뮈프랑스어 - 시골 마을 촌장.
  • 티에리 레날: 피에르 블랑샤르 - 낙태 전문 암의.
  • 파비앙 쿠티솔: 페르낭델 - 미용사.
  • 자크: 로베르 리냉 - 제라르의 아들.

3. 2. 조연


  • Harry Baur프랑스어 - 알랭 레뇨 역
  • 피에르 블랑샤르 - 티에리 레날 역
  • 페르낭델 - 파비앙 쿠티솔 역
  • 루이 쥐베 - 피에르 베르디에, 일명 조 역
  • Raimu프랑스어 - 프랑수아 파튀세 역
  • 프랑수아즈 로제 - 마르그리트 오디에 역
  • Pierre Richard-Willm프랑스어 - 에릭 어빈 역
  • Maurice Bénard프랑스어 - 브레몽 역
  • 로베르 리냉 - 자크 담브르발 역
  • 밀리 마티스 - 세실 갈테리 역
  • 실비 - 티에리의 정부 역
  • Andrex프랑스어 - 폴 역
  • 잔 퓌지에-지르 - 신문 판매원 역
  • 알프레드 아담 - 프레드 역
  • 피에르 알코베르 - 테디 멜랑코 역
  • 자크 보베 - 지배인 역
  • 페기 보니 - 댄서 역
  • 세르주 드 란도어
  • 조르주 도리발 - 남작 역
  • 크리스타 도라
  • 마르그리트 뒤쿠레 - 무도회에 간 소녀의 어머니 역
  • 아녜스 뒤발 - 결혼식 만찬 웨이트리스 역
  • 가브리엘르 퐁탕 - 로즈, 오디에 부인의 하녀 역
  • 시몬 고티에 - 무도회에 간 소녀 역
  • 르네 제냉 - 시장 보좌관 역
  • 로제 르그리 - 조의 공범 역
  • 레몽 나를레 - 조의 식당 손님 역
  • 앙리 나시에 - 경찰관 역
  • 앙리 니엘 - 파튀세의 초청객 역
  • 학교 성가대 소년 역
  • 실뱅 - 댄서 역
  • 자닌 조렐리

4. 제작진


  • 감독: 줄리앙 뒤비비에
  • 조감독: Charles Dorat|샤를 도라프랑스어
  • 각본: 줄리앙 뒤비비에, Henri Jeanson|앙리 장송프랑스어, Yves Mirande|이브 미랑드프랑스어, Jean Sarment|장 사르망프랑스어, Pierre Wolff|피에르 볼프프랑스어, Bernard Zimmer|베르나르 지메르프랑스어
  • 음악: 모리스 조베르
  • 촬영: Philippe Agostini|필리프 아고스티니프랑스어, Michel Kelber|미셸 켈베르프랑스어, Pierre Levent|피에르 르방프랑스어
  • 편집: 앙드레 베르상
  • 장치: 폴 콜랭, Jean Douarinou|장 두아리누프랑스어, Serge Piménoff|세르주 피메노프프랑스어

5. 평가 및 영향

그레이엄 그린은 잡지 ''나이트 앤 데이''에 기고한 글에서 이 영화를 "최고의 프랑스 연기를 담고 있어 반드시 봐야 할 영화"라고 호평했다.[3] 다만, 그린은 쥘 뒤비비에 감독이 "가을 분위기를 연출하려 한 부분"과 과부의 등장 장면에서 "환상이 무대 장치처럼 흔들린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럼에도 "각 에피소드는 아름다운 연기와 연출을 보여준다"며 ''페페'' 이후 스크린에서 견줄 만한 작품이 없다고 평했다.[3]

잡지 ''라이프''는 영화 스틸 사진 11장을 싣고, "사랑 이야기나 볼거리가 없고, 중년 여성 주인공과 에피소드 형식의 줄거리를 가진 이 영화는 할리우드에서는 절대 만들지 않는 종류"라며 "이 프랑스 영화는 어떤 언어로든 그 해 최고의 영화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4]

연도부문결과
1937년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외국 영화 대상 (무솔리니 컵)수상
1939년키네마 준보외국 영화 베스트 텐1위



1938년 6월 일본에서 공개된 이 영화는 중일 전쟁 중의 암울한 "비상시"에 인생의 덧없음을 노래하는 듯한 내용으로 호평받았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 발발 다음 해, 향락적이고 퇴폐적이라는 이유로 군부에 의해 상영이 금지되었다.

크리스틴이 카바레에서 피에르와 함께 부르는 시는 폴 베를렌의 "감상적인 대화"이다.[7]

도미니크 신부가 소년 면접 후 소년 성가대에 부르게 하는 곡은 빅토리아 T.L. de Victoria의 《오, 위대한 신비 O magnum mysterium》이며, 신부와 크리스틴이 별실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에서도 배경음악으로 흐른다.

하세가와 오사무의 단편 『무도회의 수첩』(인문서원)이 있으며 (키타무라 카오루・미야베 미유키 편 『가르쳐 주고 싶은 명단편』치쿠마 문고 2014년에 재수록), 일본음악 유닛 ALI PROJECT에도 『무도회의 수첩』이라는 곡이 있다.

6. 한국과의 관계

1938년 6월 일본에서 공개된 이 영화는 중일 전쟁 중의 암울한 "비상시"에 인생의 덧없음을 노래하는 듯한 내용으로 호평을 받았다.[7] 하세가와 오사무에게는 동명의 『무도회의 수첩』(인문서원)이라는 단편이 있으며, 이 단편은 키타무라 카오루・미야베 미유키 편 『가르쳐 주고 싶은 명단편』(치쿠마 문고, 2014년)에 재수록되었다. 일본음악 유닛ALI PROJECT에도 동명의 『무도회의 수첩』이라는 곡이 있다.

참조

[1] 문서 Moeller p.33
[2] 웹사이트 Lydia https://www.tcm.com/[...] 2007-10-22
[3] 간행물 Un Carnet de Bal/Under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37-12-09
[4] 뉴스 Movie of the Week: Un Carnet de Bal 1938-05-02
[5] 웹사이트 Un carnet de bal (1937) - Release Info https://www.imdb.com[...] IMDb 2020-12-05
[6] 웹사이트 Un carnet de bal (1937) https://www.imdb.com[...] IMDb 2020-12-05
[7] 웹사이트 Colloque sentimental - Paul VERLAINE http://www.poesie.we[...] Poésie française 2020-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